함수와 연산자에 전달되는 값은 대부분 적절한 자료형으로 자동 변환됩니다. 이런 과정을 "형 변환(type conversion)"이라고 합니다.
문자형으로 변환
문자형의 값이 필요할 때 변환됨 (주로 무언가를 출력할 때)
String(value) 함수를 호출해 값을 문자열로 변환
숫자형으로 변환
수학과 관련된 함수와 표현식에서 자동으로 숫자형으로 변환됨. (주로 수학 관련 연사시)
Number(value) 함수를 호출해 (value)를 숫자형으로 명시해서 변환
숫자 이외의 글자가 들어가 있는 문자열을 숫자형으로 변환하려고 하면, 그 결과는 NaN.
불린형으로 변환
이 형 변환은 논리 연산을 수행할 때 발생.
Boolean(value) 를 호출하면 명시적으로 불리언으로 형 변환.
- 숫자 0, 빈 문자열, null, undefined, NaN과 같이 "비어있는 값"을 false
- 그 외의 값은 true
Truthy & Falsy
참 같은 값 (Truthy)
문맥에서 true로 평가되는 값. Truthy
if (true)
if ({})
if ([])
if (42)
if ('0')
if ('false')
if (new Date())
if (-42)
if (12n)
if (3.14)
if (-3.14)
if (Infinity)
if (-Infinity)
거짓 같은 값 (Falsy)
문맥에서 false로 평가되는 값. Falsy (Falsy값 반드시 외우기★)
if (false)
if (null)
if (undefined)
if (0)
if (-0)
if (NaN)
if (0n)
if ('')
내 생각 정리하기
Falsy는 반드시 외우기!!!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ile문의 이해(반복문) (0) | 2023.02.15 |
---|---|
반복문 for문 (0) | 2023.02.08 |
javascript 조건문 if와 switch문 (0) | 2023.02.01 |
javascript 연산자 (0) | 2023.01.16 |
javascript 시작하기 (0) | 2022.12.28 |